열린세상

 

 

오 정 순  수필가

나에게 새해는 3일 늦게 왔다. 대구에 살던 딸애가 지난해 연말에 올라와 1월 2일 날 이삿짐이 왔다. 같은 시간인데 나에게는 송구영신의 시간이고 딸애는 변화의 시간이고 손자손녀에게는 방학이라 노는 시간이 됐다.  
서울에서 함께 살게 된다는 설렘과 주말 부부였던 딸 아이네가 한 집에서 일상을 살게 됐다는 안정감이 혼합된 고단한 날이다. 딸아이는 어른으로 자기 집을 정리해야 하고 나는 아이들을 집으로 데려와 하룻밤 같이 자면서 서울 생활의 첫발을 딛게 해준다.
무엇을 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그들을 다른 세계로 이끌어야 할지 생각하는 나는 언제나 진지해서 고단하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명화캠프로 정했다
어린이 명화감상 책을 펼쳤다. 먼저 본 적이 있는 그림을 찾아보라고 했을 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나 뭉크의 절규, 드가의 발레하는 소녀 등에 응답했다. 아주 약간이지만 선행학습이 돼서 확대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 그림으로부터 호기심이 떠나지 않게 대답이 잘 나올 것 같은 질문을 골라 하면서 흥을 돋운다. 첫장의 모나리자를 보면서 자기 나름의 감상대로 인정하고 표정을 흉내내 보기로 했다. 그러면서 입꼬리를 강조해보고 눈도 주의깊게 보라고 했다. 침착해야 그러한 표정이 나올 것 같으니 심호흡도 시켰다. 누가 가장 표정에 근접했는지를 알아보기로 했다. 놀랍게도 아이들은 이끄는대로 열심히 따라 줬다. 두 손을 모으고 손가락의 표정까지 만들어가며 포즈를 취했다. 나는 열심히 사진을 찍은 다음 그들에게 나도 찍도록 안내했다. 이는 적극 참여를 위한 유도이기도 하지만 저들이 사진을 다룰 수 있게 하고 편집을 통해 구도를 수정하는 것도 알 수 있도록 가르친 것이다. 놀이를 통해 가볍게 스치며 알고가는 것도 긴 인생을 두고 보면 바둑판의 한수 포석이 된다.  
셋의 사진을 번갈아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포즈에 자평을 하기도 했다. 놀랍게도 초등학교 3학년인 손녀는 감정이입을 하려는 모습이 역력하다. 명화를 벽지의 무늬보듯 보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알고 누가 그렸는지를 알게 하고 몸으로 익히면서 기억에 각인시키는 작업이다. 저들이 모르게 나는 점진적으로 심화해 나갔다. 이렇게 차근차근 한 작품씩 순서대로 해나가다 보니 아이들도 어느새 학습인지 놀이인지 잊어버리고 즐기고 있다. 드가의 무희, 마네의 피리부는 소년, 뭉크의 절규, 사춘기, 세잔의 춤, 르느와르의 독서하는 소녀,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  동작 등을감상하고 흉내내고 사진을 찍어 보여준다. 나는 아이로부터 놀라운 이야기를 들었다. 뭉크의 절규는 가정사에 슬픈 사연이 있어서 그러한 그림을 그리게 됐다는 이야기다. 
이번에는 내면화 그리기다. 일단 눈을 감고 잠시 퇴행을 시켰다. 그리고 나서 그리고 싶은 내용을 그리라고 했다. 한눈을 팔까봐 내가 먼저 크레파스를 집었다. 아주 단순하고 명징한 이미지가 떠올라서 곧바로 그리기 시작했다. 지면 중앙에 추상적 이미지의 둥그스름한 꽃 세송이를 그렸다. 퍼런색과 붉은 색을 섞어 이중으로 그렸다. 놀랍다. 몇시간 전에 ‘정초의 생각 3제’란 글을 썼는데 부정의 들추임에서 긍정의 메시지를 찾아낸 글이었다. 그림에는 생각이 피어나는 과정까지 특성을 정확하게 그리고 있다. 생각에 생명을 부여하고 그러한 생각이 뇌에서 어떤 이미지를 가지는지를 알 수 있었다.
내가 그림을 그리자 손녀가 노란색으로 거대한 나무 기둥을 그리더니 그 위에 펼칠 자리가 부족하다고 못마땅해 하기에 괜찮다고 장소를 옮겨 할머니 그림에 덧그려도 좋다고 허락했다. 실제로 내 그림을 넘어와 거대한 초록나무를 덮어 그렸다. 그림인데도 아이가 나의 영역을 침범한 것처럼 기분이 덜 좋았다. 그러나 이내 나는 생각했다. 아이들을 배려해 중심을 내어줄 걸 무심결에 내가 중심을 점거하고 말았다는 후회가 따랐다. 무의식적으로 중심에 자신이 그리고 싶은 욕구가 있겠구나 싶었다. 타인 세우기, 새해 첫 깨달음이다. 해보지 않은 학습은 죽은 학습이다. 다음날, 60년 차인 손녀에게 중심에 그리고 싶었느냐고 물었더니 고개를 끄덕인다. 나는 진정으로 미안하다고 말했다. 놀랍게도 아이는 적극 긍정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나이로 선택에 기득권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아이로부터 배웠다. 무엇이든 해봐야 부족함이 나타나고 그래야 새로운 방법을 강구하면서 성장한다는 말이 맞다는 것을 하루 만에 증명했다.
정초에 설렘과 고단함 사이에서 깨달음 하나 건졌으니 신년 운수대통이다.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